우리의 뇌에서 Beauty Premium을 인지할까?

오늘 정리한 논문은 우리 뇌에서 '아름다운 얼굴'을 볼때 어떻게 반응하는지 조사한 연구입니다(링크). 인정하고 싶지는 않지만 예쁘고 잘생긴 것이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 연구는 남성을 대상으로 아름다운 여성, 평균 외모의 여성, 잘생긴 남성, 평균 외모의 여성 사진을 보여줬을 때 쾌락 중추라고 알려진 두뇌 영역의 반응 양상을 조사했습니다.

Beauty premium

  1. 매력적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취업이 잘 되고, 승진이 빠르고, 수입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Marlowe et al., 1996; Freeze et al., 1990, 1991).
  2. 사회심리학 용어로 '후광효과'가 있습니다. 첫인상이 그 사람의 능력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뜻입니다. 매력적인 외모의 부수적인 효과를 무시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3. 진화심리학적으로 매력적인 외모는 '짝 가치(mate value)'를 높여서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그 사람에 접근하도록 하는 동기를 부여합니다.
  4. 생후 1개월된 아이들도 매력적인 사람들을 더 오래 응시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하네요.

연구 목적

  1. 앞에서 매력적인 얼굴이 그 사람에 대한 긍정적인 인상을 가져온다고 말씀드렸습니다.
  2. 그러면 생물학적으로 매력적인 얼굴을 봤을 때 '보상'과 관련 있는 뇌 영역이 활성화될까요? 이 연구는 그것을 조사했습니다.

    두뇌의 보상회로
  3. 8명의 이성애자 남성을 대상으로, 사람들의 사진을 보여주며 인물이 매력적인지 아닌지 평가하는 과제를 하는동안 fMRI 영상을 수집하여 분석했습니다.

결과

  1. 매력 평가: 남성 참가자들은 평균 얼굴(A)보다 매력적인 얼굴(B)에  높은 점수를 부여했습니다. 여성을 평가하든, 남성을 평가든 상관없이 말이죠.

  2. 응시 시간: 이 실험의 특징 중 하나는 사진을 보고 싶지 않았을 때 넘길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이를 토대로 응시시간을 살펴본 결과, 예쁜 여성 사진이 나왔을 때 사진을 오랫동안 봤다는 것입니다. 관심 대상이 아닌 평균 외모의 여성이나 남성들의 사진은 빠르게 넘어갔습니다.

  3. fMRI 결과: 뇌의 보상 회로에 속하는 두뇌 영역(측핵, 확장 편도체, 복측 피개 영역, 안와전두피질)의 활성화 패턴입니다. 측핵의 경우 예쁜 여성과 평균 남성 사진에 대해 활성화가 증가했네요. 이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매력 점수와 유사한 패턴을 보인 뇌영역이 없다는게 주목할 점입니다.
    NAc: 측행, SLEA: 확장 편도체, VT: 복측 피개 영역, GOB: 안와전두피질


결론

  1. 얼굴 사진을 보기만 해도 보상회로가 활성화됐습니다. 특히, 매력적인 여성 사진에 대해 활성화되는 정도가 컸습니다. 
  2. 사람들의 매력 평가가 두뇌 활성화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남성이 남성을 평가할때의 그 척도만큼은 보상회로의 활성화에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3. 이 실험에서는 남성의 자료만 분석했습니다. 여성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다면 다른 결과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4. 마지막으로 성적 지향(sexual orientation)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겠습니다. 동성애자 혹은양성애자를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치며

  보상(reward)은 우리에게 쾌(pleasure) 정서를 제공하는 자극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음식, 성적 자극, 돈 등 여러가지가 보상이 될 수 있는데, 이 연구는 매력적인 사람의 얼굴 또한 보상가가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연구를 나름대로 해석해보면 매력적인 얼굴은 가진 사람은 보상과 연합되어 더 좋은 평가를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사회적인 성공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겠습니다.
  확실한 것은 매력적인 얼굴이 좋으면 좋았지, 나쁘진 않다는 것입니다. 단, 동성에게는 해당이 안 될 수 있겠네요. 외모에 대한 기준은 개인마다, 문화마다 다른만큼 다양한 대상들에게 연구를 진행해보면 재밌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미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지 않았을까요? 관심있는 분들은 google scholar에 검색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못생긴 저는 잠깐 눈물좀 닦으러 가겠습니다ㅠㅠㅠㅠ
  '오늘의 연구' 시리즈를 더 읽어보고 싶다면 이곳을 클릭해주세요(링크)!

참고문헌
Aharon, I., Etcoff, N., Ariely, D., Chabris, C. F., O'Connor, E., & Breiter, H. C. (2001). Beautiful faces have variable reward value: fMRI and behavioral evidence. Neuron, 32(3), 537-551.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