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만
Body Mass Index(BMI)는 비만 여부를 알려주는 간단한 지표 중 하나다. |
- 비만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 국가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인구의 약 30%가 비만 위험이라는 통계도 보고되었습니다.
- 음식은 그 자체로 보상(reward)의 속성을 갖고 있습니다. 맛있는 음식을 보면 두뇌의 보상회로의 활성화가 증가하는 양상이 관찰됩니다. 음식 소비를 통제하지 못하는 몇몇 사람들에게서 보상회로의 문제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 우리 뇌의 보상 회로는 측핵(nucleus accumbens), 안와 전두 피질(orbitofrontal cortex) 피각(putamen) 등의 뇌영역들을 포함합니다.
보상 처리에 관여하는 뇌 영역들. - 비만에 대한 신경영상연구들은 비만이 음식의 보상가와 현저성을 처리하는 기능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시사합니다. 대체로 비만인들은 음식자극을 봤을 때 보상관련 뇌 영역의 활성화가 더 증가합니다. 이는 몇몇 중독 유형에서 관찰되는 속성과도 비슷합니다.
2) 연구 목적
- 이 연구는 diffusion weighted imaging (DWI)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비만인과 정상체중인 간의 보상회로의 연결성 차이를 조사했습니다. 선행 연구들은 개별 뇌 영역을 조사했다면, 이 연구는 영역들 간 연결의 수나 연결 패턴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 이를 통해, 비정상적인 음식 섭취와 관련 있는 두뇌 보상 회로의 속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보상 네트워크". 네트워크 분석은 영역들 간 연결패턴의 속성을 분석한다. - 31명의 건강한 비만인과 32명의 정상체중인을 비교했으며, 이들은 BMI와 허리 둘레를 제외하고 나이나 성별 등의 속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두 집단 간 BMI와 허리 둘레 외에 차이를 보이는 속성(나이, 성별 분포, 지능 등)은 없었다. |
3) 결과
- 보상 처리 영역의 회백질 부피 차이 - 보상 처리에 관여한다고 생각되는 뇌영역들의 부피에서는 비만인과 정상체중인 간에 차이가 없었습니다.
- 두뇌 보상 네트워크의 차이: 여기서 DWI 영상을 분석하여 계산할 수 있는 NOS(number of streamlines)와 FA(fractional anisotropy)는 뇌의 구조적 연결성을 반영하는 지표들입니다. 대체적으로 정상체중인들에 비해 비만인들에게서 연결성과 관련된 지표가 감소해있음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4개의 지표(NOS Strength, NOS Clustering, FA Strength, FA Clustering)에서 모두 차이가 관찰되는 뇌영역은 없지만 5번(측핵)이나 3, 8번(미상핵)에서 두드러진 차이가 관찰됩니다. 측핵과 미상핵은 선조체(striatum)를 구성하고 있는 뇌 영역으로 보상에 접근하는 행동과 쾌락(pleasure) 감정 처리에 관여합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런 연결 패턴의 감소가 기능 결함과 관련있는지는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비만인과 정상 체중인 간에 일부 두뇌 네트워크 속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
4) 결론
- 비만인들과 정상 체중인들 간에 두뇌 보상 회로의 일부 연결성 속성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습니다. 두드러지는 특성은 연결성과 군집성이 감소했다는 것입니다.
- 음식이 주의를 끄는(salient) 보상 자극이라는 것을 고려해본다면, 이렇게 변화된 보상회로의 속성이 비정상적인 음식 섭취를 일부 설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가령 음식을 더 추구하게 만들거나, 배가 부르지만 음식 섭취를 멈추지 못하는 통제 결함과도 관련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방법론적으로 몇 가지의 한계(예, 보상 관련 뇌 영역의 선택, MRI의 해상도)가 있지만 비만과 같은 건강 문제에 뇌의 구조적 특징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5) 마치며
비만이 단순히 체중 증가와 관련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많은 연구들에서 비만이 충동 조절이나 보상 처리의 결함과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비만이 일부 뇌의 속성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반대로, 이런 뇌의 속성 변화가 비만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비만이 신체뿐만 아니라 뇌나 사람의 인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섭식 문제를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중독 문제로도 연결될 수 있습니다.하지만 단순히 체중 증가만 갖고 비만 여부를 판단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또 비만 자체가 인지기능이나 성격의 병리적인 문제를 유발하는 것은 아닐 것이기 때문에, 개입 여부는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낙인효과도 무시할 수 없는 부작용일 것입니다. 이 연구에서도 구체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비만이 국가적으로 신경쓰는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만큼 관련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비만을 개인의 의지 문제로 보는 것이 맞는건지, 아니면 고려해야할 부수적인 요인이 더 있는지도 생각해볼 문제이겠네요. 이만 연구 소개를 마치겠습니다.
'오늘의 연구' 시리즈를 더 읽어보고 싶다면 이곳을 클릭해주세요(링크)!
참고문헌
Marqués-Iturria, I., Scholtens, L. H., Garolera, M., Pueyo, R., Garcia-Garcia, I., González-Tartiere, P., ... & Sanchez-Garre, C. (2015). Affected connectivity organization of the reward system structure in obesity. Neuroimage, 111, 100-106.
0 댓글